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ongoDB Server 설치 (몽고DB 서버 설치)

mongodb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MongoDB Server 설치 (몽고DB 서버 설치)

[설치환경]
운영체제 : LINUX - Redhat 7.3 64bit (리눅스 레드햇) 
설치방식 : 소스설치 ("mongodb-linux-x86_64-3.2.13.tgz")


아래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정상적으로 설치 가능하실거에요 ! 


[설치]

*** 모든 절차는 ROOT 계정으로 수행 합니다 ***

1. 소스 다운로드
(다운로드 경로는 임의로 / (root) 경로로 지정하겠습니다)
$ cd /

2. 압축 해제 후 디렉토리명칭 변경
$ mv mongodb-linux-x86_64-rhel70-3.4.4/ mongodb

3. 환경변수 등록
$ vi ~/.bashrc
(아래 내용을 "~/.bashrc" 파일에 작성)
export PATH=/mongodb/bin:$PATH

4. bashrc 적용
$ source ~/.bashrc

5. 설치확인
$ mongo --version 
(버전출력되면 정상)

[DB 설정파일 작성 및 실행]

6. 변경 전 open file 수 변경확인 (아마 1024 일것이다)
$ ulimit -a

7. linux open file 수 설정 
$ ulimit -n 65536 (리눅스 오픈파일수 최대치)

$ vi /etc/security/limits.conf   nproc)
(재부팅 후에도 반영될수있도록 아래내용 작성)
(혹시모르니 openfile 말고도 open proccess 도 변경함)
root          soft    nproc           65536               
root          hard    nproc           65536
root          soft    nofile          65536
root          hard    nofile          65536

8. 변경 후 open file 수 변경확인
$ ulimit -a

9. DB 스토리지 생성
$ mkdir -p /mongodb/data/db

10. LOG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mongodb/log

11. mongo.conf 파일 작성
$ vi /mongodb/mongod.conf
(아래내용 작성)
dbpath=/mongodb/data/db
logpath=/mongodb/log/mongodb.log
logappend=true

fork=true
port=27017

#이걸살리면.. 퍼미션오류 남 error number 1 
#pidfilepath=/var/run/mongodb/mongod.pid   

#bind_ip=127.0.0.1,106.254.245.42

bind_ip=0.0.0.0

# Disables write-ahead journaling
#nojournal=true

# Enables periodic logging of CPU utilization and I/O wait
#cpu=true

# Turn on/off security.  Off is currently the default
#noauth=true
#auth=true

# Verbose logging output.
#verbose=true

# Inspect all client data for validity on receipt (useful for
# developing drivers)
#objcheck=true

# Enable db quota management
#quota=true

# Set oplogging level where n is
#   0=off (default)
#   1=W
#   2=R
#   3=both
#   7=W+some reads
#diaglog=0

# Ignore query hints
#nohints=true

# Enable the HTTP interface (Defaults to port 28017).
#httpinterface=true

# Turns off server-side scripting.  This will result in greatly limited
# functionality
#noscripting=true

# Turns off table scans.  Any query that would do a table scan fails.
#notablescan=true

# Disable data file preallocation.
#noprealloc=true

# Specify .ns file size for new databases.
# nssize=<size>

# Replication Options

# in replicated mongo databases, specify the replica set name here
#replSet=setname
# maximum size in megabytes for replication operation log
#oplogSize=1024
# path to a key file storing authentication info for connections
# between replica set members
#keyFile=/path/to/keyfile

12. 실행
(mongod.conf 에 작성한 내용을 반영해서 실행하려면 아래와같이 수행)
$ mongod --config /mongodb/mongod.conf

13. 서비스 스크립트 작성
(소스설치의 경우 자동으로 서비스등록이 되질 않으므로..직접 해준다)

$ vi /mongodb/mongodb

(아래내용 작성)
#!/bin/sh
# mongodb    mongodb service shell
# chkconfig: 2345 90 90
# description: mongodb
# processname: mongod
# config: /mongodb/mongod.conf
# pidfile:

MONGO_HOME='/mongodb'
MONGO_CONF_PATH=$MONGO_HOME/mongod.conf
MONGO_DATA_PATH=$MONGO_HOME/data/db
MONGO_LOG_PATH=$MONGO_HOME/log/mongodb.log

case "$1" in
    start)
        echo -en "Starting mongoDB...\n"
        $MONGO_HOME/bin/mongod --config $MONGO_CONF_PATH
        echo -e "\n"
        ;;

    stop)
        echo -en  "Shutting down mongoDB...\n"
        $MONGO_HOME/bin/mongod --config $MONGO_CONF_PATH --shutdown
        echo -e "\n"
        ;;

    restart)
        $0 stop
        sleep 5
        $0 start
        ;;

    *)
        echo "Usage: $0 {start|stop|restart}"
        exit 1
esac
exit 0

14. 서비스 스크립트 실행권한 조정
$ chmod 755 /mongodb/mongodb

15. 서비스 등록
$ cp /mongodb/mongodb /etc/rc.d/init.d/mongodb
$ chkconfig --add mongodb

16. 서비스 구동 테스트
$ service mongodb start
$ service mongodb restart
$ service mongodb stop


[추가설정]

17 Configure SELinux
$ vi /etc/selinux/config
(아래내용 작성)
SELINUX=disabled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변액보험판매자격시험공부 요점정리

생명보험협회 주관 변액보험판매자격시험 (PBT)  요점 정리 입니다  아래 내용만 3일정도 외워서  모의고사 4번정도 풀고  시험봤구요  82.5점으로 합격했습니다 모두들 합격하세요 ~!  --------------------------------------------------------------------- 직접금융 / 간접금융 은행 : 간접금융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서 빌려주고,돌려받는것을 수행해준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거래하고 책임지지 않는다 증권사 : 직접금융 기업(공급자)은 주식/채권 발행 -> 증권사는 그것들을 인수역할을함 개인(수요자)는 기업이 발행한 주식/채권을 직접 매매한다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책임진다 증권사는 중간연결다리 역할만 한다 금융시장의 기능 자금의 중계 금융자산의 가격결정 유동성 제공 거래비용 절감 ★ 탐색비용, 정보비용등이 금융시장이 있음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된다 ★ 위험관리 위험 = 변동성, 위험이크다(변동성이크다), 위험에 대한 보상 = 위험프리미엄 위험회피도가 높은 투자자는 변동성이 높은 투자를 했을때 위험회피도가 낮은 투자자에 비해 위험프리미엄이 높다 시장규율 만기는 1년을 기준으로함 1년 미만 :  자금시장  (단기) 장기시장에비해  거래규모 크다 (유동성 풍부) 1년 이상 :  자본시장  (장기)  오래투자하므로 단기보다  변동폭이 크다 단기시장은 유동성이 풍부하고 변동폭이 크다 (X) : 변동폭이 큰건 장기시장이다 장기상품  주식 채권 자산유동화증권 단기상품 장기상품을 제외하고 전부다 단기상품 콜 금융 기관 끼리 돈을 빌리는것 만기 1일이 대다수 최장만기는 90일 RP (환매채권) 개인 의 채권 투자 방식  증권사가 사들인 기업채권을 개인이 투자하고, 증권사가 개인이 투자한 채권을 다시 사들이는 형태 예금자보호 불가  (영어로된 용어는 예금자보호불가)...

Android 스마트폰 기본 웹브라우저(Chrome:크롬) 호출하는 스키마(URL Scheme)

신용카드결제 페이지 주소를 카톡으로 던졌을때 카톡 내부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다보니 결제완료까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더라 그래서 생각해본게.. 1) 카카오통 채팅방  2) 링크 전송  3) 링크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애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실행하는 URL스키마 실행  4) 실행된 웹브라우저에서 결제페이지로 이동 이 절차를 거치면 카톡 외부로 나와서 독립적인 웹브라우저상에서 결제를 진행하기때문에 정상처리가 가능할것이라고 판단 찾다 찾다가.. 알아낸것이 안드로이드 (가능) - 롤리팝부터 크롬 브라우저가 기본앱이다 - 크롬을 호출방법 intent://www.naver.com#Intent;scheme=http;package=com.android.chrome;end  아이폰 (조건부 가능) - 사파리를 호출하는 앱스키마가 없으며, 사파리를 통해서 검색어를 입력한 검색기능만 가능 - 크롬브라우저 앱이 설치되어있을경우 아래와같이 호출 가능 googlechrome:////www.naver.com <사용법> < html > < body > < script >      var currentOS = "else" ;      var mobile = ( /iphone | ipad | ipod | android/ i .test(navigator.userAgent.toLowerCase()));      if (mobile) {          var userAgent = navigator.userAgent.toLowerCase();    ...

SVN 백업 및 이동 (서버에서 다른서버로 SVN을 이동하여 구축할 때 ~ )

처음엔 막연했는데 막상 해보니 겁나 간단했다.    1. 기존 svn 으로 사용되고있는 저장소에서 덤프를 뜬다 ( = 백업을 뜬다) [기존 서버] # svnadmin dump /home/svn/repo-tasks > svn.dump   2. 저 덤프파일을 FTP 로 이동시키거나 서버끼리 마운트된 디렉토리로 공유를 하거나 해서 새로 구축될 svn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3, 복사후 새롭게 사용될 svn저장소를 생성 (이미 있으면 생략~ ) # svnadmin create /home/svn/new_svn    * 새로 만들어진 svn 으로 덤프를 적용시켜도 설정파일은 변하지 않으므로 설정파일도 기존에 사용하던 svn 설정내용에 맞게 수작업으로 변경해주어야 함   * 설정파일 수정방법은 본 블로그 SVN 설치 라는 게시글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4. 덤프를 신규 svn저장소에 때려박기  [새로 사용될 서버] # svnadmin load /home/svn/new_svn < svn.dump   이동하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