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크롤 아래로 향하기 (바닥으로 보내기) javascript, vue.js

채팅창에서 새로운 글 발생시

스크롤이 바닥을 향하여 새로운 글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스크롤을 임의로 움직였을 경우 스크롤이 그 자리에 머물러있고
다시 바닥에 붙였을때 계속해서 바닥에 유지되는

간단하지만 고민해보지 않으면 만들기 버거로운기능을
나름 완벽하게 해결했다고 자부하여 공유해봅니다

아래 소스를 요약설명하자면
1. vue.js 사용됨, 실시간 채팅수신에 의해 리스트의 데이터추가 발생시 알아서 div가 추가되는 구조

2. onscroll 이벤트로 chat_on_scroll() 함수를 사용하여 스크롤 변동을 감시

3. bottom_flag 이라는 플래그를 사용해서 바닥을 유지할지 말지를 결정


만들다보니 vue.js 를 사용한 부분이있어서 아래와같이 설명하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3번에 해당하는 영역이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서 스크롤을 발생시키는 영역이기만 하면된다
예전같으면 innerHTML 함수를 사용해서 HTML을 추가했을것이므로.. 그걸 생각하면 될듯함

---------------------------------------------------------------------------

1. HTML 소스
 - vue.js 사용됨, 실시간 채팅수신에 의해 리스트의 데이터추가 발생시 알아서 div가 추가되는 구조

<html>
<body>
    <div id="app_chat_list" onscroll="chat_on_scroll()">

        <!-- 이곳이 채팅내용에 의해 스크롤이 발생하는 구간 -->

        <div v-for="item in chat_data_list">
            <div>
                <chat_balloon v-bind:data="item.chat_data"></chat_balloon>
            </div>
        </div>

    </div>
</body>
</html>

---------------------------------------------------------------------------

2. javascript
 - onscroll 이벤트로 chat_on_scroll() 함수를 사용하여 스크롤 변동을 감시

var pre_diffHeight = 0;
var bottom_flag = true;
var chat_on_scroll = function(){
        var objDiv = document.getElementById("app_chat_list");

        if((objDiv.scrollTop + objDiv.clientHeight) == objDiv.scrollHeight){
                // 채팅창 전체높이 + 스크롤높이가 스크롤 전체높이와 같다면
                // 이는 스크롤이 바닥을 향해있다는것이므로
                // 스크롤 바닥을 유지하도록 플래그 설정
                bottom_flag = true;
        }

if(pre_diffHeight > objDiv.scrollTop + objDiv.clientHeight ){
                // 스크롤이 한번이라도 바닥이 아닌 위로 상승하는 액션이 발생할 경우
                // 스크롤 바닥유지 플래그 해제
                bottom_flag = false;
}
        //
        pre_diffHeight = objDiv.scrollTop + objDiv.clientHeight
};

---------------------------------------------------------------------------

3. javascript (vue.js)
 - bottom_flag 이라는 플래그를 사용해서 바닥을 유지할지 말지를 결정

var app_chat_list = new Vue({
    el: '#app_chat_list',
        data : function() {
            return returnData;
        },
        updated : function() {
            // app_chat_list 의 변화가 발생할때마다 수행되는 영역

            var objDiv = document.getElementById("app_chat_list");
            if(bottom_flag){
                // 채팅창 스크롤 바닥 유지
                objDiv.scrollTop = objDiv.scrollHeight;
            }
        }
});

---------------------------------------------------------------------------

시행착오로는..

증가하는 말풍선의 높이와.. 스크롤높이.. 채팅화면높이등의 오차를 반영해서
어찌어찌 해보려했으니
짧은간격 (0.1 ~ 0.3 초 수준 또는 그 이하)으로 다수의 메시지가 발생할때
바닥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도 있었고
코드도 지저분했고..

바닥유지 버튼, 바닥유지 해제버튼
이렇게 옵션을 제공하는곳이 있었던걸 떠올렸다가
flag를 만들어서 바닥에 한번에라도 붙으면 그때부턴 바닥유지고
바닥과 반대로 움직이는 스크롤이 발생하면 바닥유지를 해제하도록 해버렸더니
깔끔하게 움직였다
코드도 깔끔하고, 코드라인도 많이 줄었고..
만족!!

혹시 다른 방법으로 스크롤 바닥유지와 해제를 구현하신분이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변액보험판매자격시험공부 요점정리

생명보험협회 주관 변액보험판매자격시험 (PBT)  요점 정리 입니다  아래 내용만 3일정도 외워서  모의고사 4번정도 풀고  시험봤구요  82.5점으로 합격했습니다 모두들 합격하세요 ~!  --------------------------------------------------------------------- 직접금융 / 간접금융 은행 : 간접금융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서 빌려주고,돌려받는것을 수행해준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거래하고 책임지지 않는다 증권사 : 직접금융 기업(공급자)은 주식/채권 발행 -> 증권사는 그것들을 인수역할을함 개인(수요자)는 기업이 발행한 주식/채권을 직접 매매한다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책임진다 증권사는 중간연결다리 역할만 한다 금융시장의 기능 자금의 중계 금융자산의 가격결정 유동성 제공 거래비용 절감 ★ 탐색비용, 정보비용등이 금융시장이 있음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된다 ★ 위험관리 위험 = 변동성, 위험이크다(변동성이크다), 위험에 대한 보상 = 위험프리미엄 위험회피도가 높은 투자자는 변동성이 높은 투자를 했을때 위험회피도가 낮은 투자자에 비해 위험프리미엄이 높다 시장규율 만기는 1년을 기준으로함 1년 미만 :  자금시장  (단기) 장기시장에비해  거래규모 크다 (유동성 풍부) 1년 이상 :  자본시장  (장기)  오래투자하므로 단기보다  변동폭이 크다 단기시장은 유동성이 풍부하고 변동폭이 크다 (X) : 변동폭이 큰건 장기시장이다 장기상품  주식 채권 자산유동화증권 단기상품 장기상품을 제외하고 전부다 단기상품 콜 금융 기관 끼리 돈을 빌리는것 만기 1일이 대다수 최장만기는 90일 RP (환매채권) 개인 의 채권 투자 방식  증권사가 사들인 기업채권을 개인이 투자하고, 증권사가 개인이 투자한 채권을 다시 사들이는 형태 예금자보호 불가  (영어로된 용어는 예금자보호불가)...

Android 스마트폰 기본 웹브라우저(Chrome:크롬) 호출하는 스키마(URL Scheme)

신용카드결제 페이지 주소를 카톡으로 던졌을때 카톡 내부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다보니 결제완료까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더라 그래서 생각해본게.. 1) 카카오통 채팅방  2) 링크 전송  3) 링크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애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실행하는 URL스키마 실행  4) 실행된 웹브라우저에서 결제페이지로 이동 이 절차를 거치면 카톡 외부로 나와서 독립적인 웹브라우저상에서 결제를 진행하기때문에 정상처리가 가능할것이라고 판단 찾다 찾다가.. 알아낸것이 안드로이드 (가능) - 롤리팝부터 크롬 브라우저가 기본앱이다 - 크롬을 호출방법 intent://www.naver.com#Intent;scheme=http;package=com.android.chrome;end  아이폰 (조건부 가능) - 사파리를 호출하는 앱스키마가 없으며, 사파리를 통해서 검색어를 입력한 검색기능만 가능 - 크롬브라우저 앱이 설치되어있을경우 아래와같이 호출 가능 googlechrome:////www.naver.com <사용법> < html > < body > < script >      var currentOS = "else" ;      var mobile = ( /iphone | ipad | ipod | android/ i .test(navigator.userAgent.toLowerCase()));      if (mobile) {          var userAgent = navigator.userAgent.toLowerCase();    ...

SVN 백업 및 이동 (서버에서 다른서버로 SVN을 이동하여 구축할 때 ~ )

처음엔 막연했는데 막상 해보니 겁나 간단했다.    1. 기존 svn 으로 사용되고있는 저장소에서 덤프를 뜬다 ( = 백업을 뜬다) [기존 서버] # svnadmin dump /home/svn/repo-tasks > svn.dump   2. 저 덤프파일을 FTP 로 이동시키거나 서버끼리 마운트된 디렉토리로 공유를 하거나 해서 새로 구축될 svn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3, 복사후 새롭게 사용될 svn저장소를 생성 (이미 있으면 생략~ ) # svnadmin create /home/svn/new_svn    * 새로 만들어진 svn 으로 덤프를 적용시켜도 설정파일은 변하지 않으므로 설정파일도 기존에 사용하던 svn 설정내용에 맞게 수작업으로 변경해주어야 함   * 설정파일 수정방법은 본 블로그 SVN 설치 라는 게시글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4. 덤프를 신규 svn저장소에 때려박기  [새로 사용될 서버] # svnadmin load /home/svn/new_svn < svn.dump   이동하기 끝!